대표분야 | 1차분류 | 2차분류 | 세부내용 |
---|---|---|---|
해당 |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향상 | 문화예술교육사 / 사회예술강사 장애인 미술 |
인문교양교육 | 인문학적교양 | 그림책활동가/ 그림책 놀이 | |
기초문해교육 | 문자해독 | 발달장애인 /북아트 |
학력 | 전공 | 졸업구분 |
---|---|---|
석사 | 문화예술경영 | 졸업 |
근무처 | 담당업무 |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문화예술교육사/ 사회예술강사 및 학교예술강사 |
자격증명 | 발행처 |
---|---|
문 화 예 술 교 육 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보육교사 | 보건복지부장관 |
책 놀 이 지 도 사 | 문학활동연구소 |
유기농업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
화훼장식기능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
학부 4년 때부터 어린이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하게 되었다. 이후 자연스럽게 출판에 관심 갖게 되 면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그림책의 예술성을 일상에서 편하게 찾을 수 있는 주제 탐색과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깊은 공감과 감동을 얻게 되어, 좋아하는 책으로 즐거움과 가치 또한 그속의 예술적 경험을 나누기 시작했다. 그림책은 그 자체가 하나의 장르이며 예술, 문화라고 생각한다. 태어나서 처음 접하는 그림책은 아주 다채로운 표현기법을 담고 있다. 이것을 나의 예술 교육 속으로 들여와 기획 의도를 담아 개발하여 현장 상황과 대상 맞게 활용하고 있다. 자연에서 얻은 주제 탐구의 동기유발로 예술적 가치나 정보를 전달하고 문화예술을 이해하며 이것의 실천하는 것으로 예술. 자연. 인지. 감성. 사회성을 아우르는 문화예술교육을 추구한다 . 참여자도 안내하는 강사 나 스스로 집중하고 나의 삶, 가족, 자연 등 다채로운 이야기가 표현의 주제로 그 속에서 찾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