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포스터
공고 제2025-36호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2차 신청 접수 공고
경제적 여건에 따른 교육격차를 완화하고, 저소득층 등 성인의 자기계발 및 자아실현을
지원하기 위한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2차] 신청 접수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사업 공고문 미숙지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신청인의 책임으로 반드시 숙지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
일반 |
디지털 |
노인 |
장애인 |
신청대상 |
19세 이상 기초, 차상위, 기준 중위소득 70% (단, 1인 가구 120% 이하) |
30세 이상 (1995,12.31.까지 출생한 자) |
65세 이상 (1960.12.31.까지 출생한 자) |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2006.12.31.까지 출생한 자) ※산청군, 남해군 신청 불가 (1차 신청 지원인원 마감) |
사용기관 (온·오프라인 가능) |
평생교육이용권 사용 등록기관 |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 사용 등록기관 ※일반사용기관 결제불가 |
평생교육이용권 사용 등록기관 |
평생교육이용권 사용 등록기관 |
신청기간 |
2025. 6. 26.(목) 10:00 ~ 2025. 7. 10.(목) 17:00 ※ 선정 발표 7. 22.(화) 예정 |
|||
신청방법 (온라인) |
- 일반, 디지털, 노인: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또는 모바일 웹 ⇒ [이용권 신청] 클릭 - 장애인: 보조금24 누리집(http://www.gov.kr) 또는 정부 24 모바일앱-보조금24 , 방문신청(각 시군 평생교육 전담부서) |
|||
선정방법 |
신청자 자격확인 후, 선발 원칙*에 따라 선정 *각 지원유형별 저소득층 우선 선발 후 온라인 추첨 |
|||
지원내용 |
평생교육강좌 수강료 및 교재비 지원 / 1인당 연35만원(포인트로 지급) |
|||
사용카드 |
NH농협 채움카드(신용·체크) ※ 기존 평생교육희망카드 사용불가 |
|||
사용기간 |
NH농협채움카드 한도 충전 후 ~ 2025.12.31.(수) |
|||
문의처 |
(진 흥 원) ☏ 055-239-6188 (시스템 오류) ☏ 1660-0065 |
|||
· 사업 공고문 및 붙임자료 미숙지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신청인의 책임으로 반드시 숙지 후 신청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 파일 확인(기준 중위소득 70% : 아래 건강보험료 확인 필수) |
☎ 경남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055-239-6188(운영시간 월~금 09:30~17:30)
☎ 평생교육이용권 중앙 상담 콜센터 1600-3005
☎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상담 콜센터 1668-0420
☎ 농협카드 고객상담센터 1644-4000
신청 자격요건 조사 및 확인 안내 자료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자격 신청자
-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 등 자료를 자료를 통한 이용권 신청자의 자격 보유 여부 확인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 자격 신청자
- 자격요건 조사 및 확인 절차
- 국민건강보험공단 정보연계를 통해 신청하는 월의 직전 월 건강보험료 고지액을 통한 소득기준 부합 여부를 확인
(단, 1인 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인 자)
<2025년 건강보험료 판정기준표-기준 중위소득 70%>
(단위 : 원) |
|||
가구원 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
2인 |
2,753,000 |
98,361 |
19,780 |
3인 |
3,518,000 |
125,976 |
56,598 |
4인 |
4,269,000 |
152,670 |
88,285 |
5인 |
4,976,000 |
177,488 |
118,793 |
6인 |
5,646,000 |
201,636 |
134,274 |
7인 |
6,292,000 |
225,920 |
162,782 |
8인 |
6,939,000 |
248,195 |
190,919 |
9인 |
7,585,000 |
271,465 |
221,207 |
10인 |
8,232,000 |
295,140 |
251,318 |
※ (1인 가구 120%) 소득기준 2,871,000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은 직장가입자 102,613원, 지역가입자 22,380원
※ (가구원 수) 가족관계등록부 상 가구원이 아닌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 가구원 수 기준
※ 장기요양보험료, 연말정산 제외